웹페이지
총 54건-
회의진행과정
회의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임시회나 정례회가 개최되면 먼저 개회식을 갖고 본회의에서 그 회기동안 처리할 안건등 의사일정을 확정하고 회기를 결정하여 운영함. 본회의 진행과정 본회의 : 위원회의 심사를 마친 조례안, 기타안건 자치단체의 주민부담에 관한 사항, 조례제정, 단체운영 등 그 지역의 전반적인 정책을 심의하여 최종적으로 결정합니다. 자치단체의 의사를 최...
-
의석 배치도
충청북도의회 의석배치도 - 가장 위쪽 왼편에서부터 출입문, 의회사무처장, 의장, 의사담당관, 사무처직원, 발언대, 수화통역, 교육감, 도지사, (증평)박병천, (청주6)박재주, (비례)안치영, (청주14)김현문, (청주9)이욱희, (옥천2)박용규, (청주3)김정일, (음성2)노금식, 부교육감, 충북도립대학교총장, 경제부지사, 행정부지사, (제천1)김꽃임, ...
-
교육위원회역할
교육위원회의 역할 집행기관에 대한 감시와 견제, 조례제정 집 행 기 관 행정사무감사권 특정사안조사권 의견 진술권 동의권 승인권 보고, 출석요구권 교육위원회 (의결권 선거권 징계의결권 회의규칙제정권) 주 민 관 계 인 교육위원회의 권한 1. 심의 의결권 시 도의회에 제출할 조례안 시 도의회에 제출할 예산안 및 결산 시 도의회 제출한 특별부과금, 사용료, 수수...
-
교육위원회연혁
1991.3.8. ~ 1999.7.1. 1991.3.8.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 공포(법률 제4347호) 1991. 4.23.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시행령 공포(대통령령 제13356호) 1991. 4.29. 교육위원회 사무실 확정(도교육청 4층 380.18㎡) 충청북도교육위원회관인규칙 공포(규칙 제1호) 1991. 7. 8. 제1대 충청북도교육위원 선출공고(충...
-
개인정보처리방침
충청북도는 개인정보 보호법 제30조에 따라 정보주체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이와 관련한 고충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수립 공개합니다. 본 방침은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충청북도에서 처리하는 모든 개인정보 파일에 적용됩니다. 다만, 소관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소속기관(부서)에서 별도의 개인정보 처리방...
-
각종 신청 서식
보존회의록 열람(복사) 신청서 (별지 제1호 서식) 비공개회의록 열람 신청서 (별지 제2호 서식) 회의록 게재 신청서 (별지 제3호 서식) 자구 정정 요구서 (별지 제4호 서식) 회의록중 불게재 신청서 (별지 제5호 서식) 회의록 원고 열람(복사) 신청서 (별지 제6호 서식) 녹음복사허가 신청서 (별지 제7호 서식)
-
의회에서 하는일
의회에서는 무슨 일을 하나요? 의회에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집행할 사안들에 대하여 심의하고 결정하는 의결기관으로서의 역할과 의회에서 결정한 사항을 집행기관이 잘 수행하고 있는지를 감시 감독하는 역할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주민들의 의견을 접수하고 정책반영을 요구하는 청원처리권과 의회운영과 관련된 독자적인 자율권이 있습니다. 의결기관으로서 하는 일 자치단체의 ...
-
의원배지
충청북도의원 배지 의원 배지는 의원 등록시에 교부하며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대여하지 못하며 분실하거나 훼손하였을 경우 재교부 받아야 한다. 의원 배지 패용은 상의 좌측 옷깃에 착용한다. 충청북도의원 배지의 모형도와 규격 무궁화 모형의 직경, 무궁화 모형의 가운데 원의 외경, 무궁화 도형의 가운데 원의 내경, “의회”자의 직경으로 이루어집니다 무궁화 모형의 직...
-
지방의회의발전/생성
지방의회는 어떻게 발전해 왔을까? 1948년 7월 17일 제정, 공포된 대한민국 헌법에 민주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한 대의제 지방자치의 원칙이 선언되어 1948년 8월 15일 법률 제32호로 시행된 지방자치법에 의해 지방자치의 틀이 마련되었습니다. 그러나 6.25사변으로 인해 지방의회 를 구성하지 못하고 1952년 5월 역사상 처음으로 지방의원 총선거를 실시...
-
의회의필요성
의회는 왜 필요한가요? 지방자치는 일반적으로 일정한 지역을 기초로 하는 주민들이 자치단체를 구성하여 자기사무, 즉 그 지역의 공동사무를 주민들의 부담에 의하여 스스로 처리해 나가는 것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가 지역주민에 의한 자치를 의미하지만 사실상 모든 주민이 직접 지방행정에 참여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지방자치법과 공직선거법을 기초로 대의제...